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nt
- map
- Sort
- 백트래킹
- C++
- Set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최소공배수
- 프로그래머스
- 배열
- 유클리드호제법
- vector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깊이우선탐색
- BFS
- stoi
- 정렬
- priority_queue
- 분할정복
- 문자열
- DP
- 알고리즘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그래프
- 이분탐색
- 우선순위큐
- 백준
- DFS
- N과M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0)
안녕 세상아,
switch 문법 if문과 같이 제어문에 속한다. 하지만 if문과는 다르게 부등호(>, =,> x; switch(score/10){ case 9 : cout
- 1XX: Informational(정보 제공) 임시 응답으로 현재 클라이언트의 요청까지는 처리되었으니 계속 진행, HTTP 1.1 버전부터 추가 - 2XX: Success(성공)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서버에서 성공적으로 처리 - 3XX: Redirection(리다이렉션) 완전한 처리를 위해서 추가 동작이 필요한 경우, 주로 서버의 주소 또는 요청한 URI의 웹 문서가 이동되었으니 그 주소로 다시 시도 - 4XX: Client Error(클라이언트 에러) 없는 페이지를 요청하는 등 클라이언트의 요청 메시지 내용이 잘못된 경우 - 5XX: Server Error(서버 에러) 서버 사정으로 메시지 처리에 문제가 발생, 서버의 부하, DB 처리 과정 오류, 서버에서 익셉션이 발생하는 경우

유클리드 호제법이란? 2개의 자연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2개의 자연수 a,b에 대해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이라고 하면 (a>b),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b를 r로 나눈 나머지 x를 구하고, 다시 r을 x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결국 나머지가 0이 되었을 때 나누는 수가 a와 b의 최대공약수이다. 예시 1925와 819의 최대공약수 1925%819=287 -> 819%287=245 -> 287%245=42 -> 245%42=35 -> 42%35=7 -> 35%7=0 ====> 7이 최대 공약수! int gcd(int a, int b) { int c; while (b) { c = a % b; a = b; b = c; } retur..
내가 까먹을때마다 보려고 적어놓는 ~! 데이터 타입은 기본적으로 음수부터 양수까지의 값을 가지는데, unsigned가 지원되면 0을 포함하는 양수의 값을 가지게 된다. 유형 이름 바이트 범위 (signed) int 4 -2,147,483,648 ~ 2,147,483,647 unsigned int 4 0 ~ 4,294,967,295 char 1 -128 ~ 127 unsigned char 1 0 ~ 255 short, (signed) short int 2 -32,768 ~ 32,767 (signed) long long 8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 854,775 807 unsigned long long 8 0 ~ 18,446,774,073,709,551,..
cout.precision(N); 가장 큰 자리수부터 N자리를 출력하겠다는 것이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float num= 1.23456; cout.precision(2); cout
int->string - 헤더 포함해야함. - int형 뿐만 아니라 double형, float형 모두 변환 할 수 있음. - 사용법 : string str=to_string(int x); #include #include int main(){ int num=123; string str=to_string(num); cout
문자열 길이는 length 함수로 구한다. 방법: 문자열을 선언한 후 바로 뒤에 .length() 만 쓰면 됨. .size()도 출력되는 값은 같지만, 굳이 따지자면 string의 사이즈를 반환한다. 하지만 둘이 바꿔서 사용해도 크게 문제는 없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str="hello"; cout
while(1) 무한루프 무한루프 반복문이다. break 제어가 없으면 계속 반복한다. while (1) 뿐만 아니라 0이 아닌 수가 있으면 다 무한 루프로 계속 반복한다. 예를들어 while(2), while(222), while(-23) 모두 무한루프로 while(1)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무한루프에서 빠져나오는 방법은 break;를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while(1)을 사용하는 것은 CPU 사용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while(0) 루프 차단 while(1)과 정확히 반대되는 반복문이다. 아예 루프를 차단해서 루프가 실행되지 않는다.
수학 계산을 하게 될 때 꼭 필요한 함수이다. 이 함수는 헤더에 포함되어있어서 include 해주어야한다. ●double sqrt(double x); - 어느 수의 제곱근을 구할 때 사용. - 리턴형은 doubl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a = 25; int b; b = sqrt(25); cout

사용했던 앱은 draw.io이다. draw.io를 사용했던 이유는..그냥 학부 시절에 몇번 사용해보기도 했고 선 그을 때 편함. 물론 draw.io 말고 figma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았음. 우선 로그인 flow랑 QR코드 인식 후 작동하는 flow 두개를 나눠서 만들었다. 저장 잘못했더니 화질 진심 다 깨졌다. 화질구지 오히려 좋아...? 암튼 flowChart의 기본은 원: 시작, 끝 ->: 흐름 사각형: 처리 마름모: 의사결정, 판단 평행사변형: 입출력 이렇게 작성하면 된다. 저 물결같이 보이는건 출력하는 메시지인데 보기에 편하라고 저렇게 작업해봤다. 저 FlowChart 적으려구 3장이나 요리저리 써봤다..^^ 처음 하니까 잘 모르겠어서 그냥 휘갈기듯이 내 생각 여러개 써봄,, FlowChart..